▷▶ 차원의 수
일반적으로 n개의 개체가 표현될 저차원의 차원수 k는 궁극적으로 다차원척도 그림의 좌표축의 수를 정하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Kruscal 과 Wish는 스트레스는 차원의 수가 증가하면 감소하므로 스트레스-차원수 그림을 통하여 스트레스가 제일 많이 꺾이는 곳에 대응하는 차원을 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Chatfield & Collins 는 2, 3 그리고 4차원 정도에서 적절한 차원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Kruscal 이 제시한 스트레스에 따른 판별기준은 다음과 같다.
[Kruscal의 판별 기준]
스트레스(%) |
0.0 |
2.5 |
5.0 |
10.0 |
20.0 |
부적합도 |
완벽 |
뛰어남 |
좋음 |
보통 |
나쁨 |
특별히 2차원 좌표점을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는 다차원척도 그림에 대한 해석시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할 수 있다.
1) 개체간의 그룹화 : 공통의 특성을 갖는 개체들은 가깝게 모여 있다.
2) 개체간의 순서화 : 중요한 특성(좌표축)에 따라 개체들이 정렬된다.
이러한 기하적 설명은 그들간에 정의한 유클리드 거리에 근거한다고 볼 수 있다.
'M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S] ▷▶ 유사성 계수 ( similarity coefficient ) (1) | 2009.11.20 |
---|---|
[SAS] ▷▶ 비유사성(dissimilarity)의 측정 (0) | 2009.11.20 |
[SAS] ▷▶ 스트레스( stress ) (0) | 2009.11.20 |
[SAS] ▷▶ 측정수준(measurement level) (0) | 2009.11.20 |
[SAS] ▷▶ 비계랑형 다차원척도법 (0) | 2009.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