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Biz전략마케팅

논문초록 - T-Commerce

by 누피짱 2008. 10. 19.
본 연구는 Davis(1989)의 기술수용모델(TAM)을 토대로 하여, T-commerce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모델로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augmented TAM)을 제시하고 모델의 성립여부를 검증하였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augmented TAM)은 기존의 기술수용모델(TAM)에 개인의 혁신성이라는 변수를 추가한 것이며, 이와 동시에 조기수용자 집단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수에 따른 집단간 이용의사의 차이 또한 검증하였다.
This study,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Davis 1989), presented the augmented TAM as a model for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commerce and establish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odel. The augmented TAM added a variable of personal innovativeness to the existing TAM. At the same tim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also examined in order to confirm personality traits of the early acceptance users group.

연구 결과, 확장된 기술수용모델(augmented TAM)의 성립과 조기수용자 집단으로서의 변별적인 특성이 확인되었으며, 그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ugmented TAM were established,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provided below.

우선 확장된 기술수용모델(augmented TAM)은 TV 홈쇼핑의 지각된 이용용이성이 T-commerce 서비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기각된 것을 제외하고는 T-commerce 서비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용한 모델이라는 점이 밝혀졌다.
First, the augmented TAM was proven to be a useful model in predic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r's attitude toward using the T-commerce service, except the rejected hypothesis assuming that the perceived ease-of-use of TV home shopping would affect the user's attitude toward using the T-commerce service,

다음으로 TV 홈쇼핑 및 인터넷 쇼핑몰의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용이성은 T-commerce 서비스에 대한 이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Meanwhile,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of TV home shopping programs and Internet shopping malls were found not to give direct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e T-commerce service.

또한 개인의 혁신성 변수은 T-commerce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도 모두에 대해 독립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variable of personal innovativeness was found to give qualitative effect on the user's attitude toward using the T-commerce service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e T-commerce service, respectively.

마지막으로 성별, 학력, 직업 등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 구분된 집단 간의 T-commerce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만이 존재하지 않을 뿐 나머지에서는 대부분 확실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nally, as to the comparisons of demographic and social variables, such as the gender, the education level and the occupation, the user's attitude toward using the T-commerce service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e T-commerce were found different only between gender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among different education levels and occupations.

본 연구는 새로운 상거래 수단으로서 발전가능성이 높은 T-commerce 서비스에 대하여 새로운 기술의 수용과 확산의 측면을 중심으로 하여 조기수용자들의 이용의도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들은 T-commerce 서비스 이용의사의 결정과정에 확장된 기술수용모델(augmented TAM)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으며, 또한 T-commerce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제공되기 이전의 시점에서 향후 시장의 향방을 가늠하고 사업의 전개방식을 결정함에 있어 중요한 단서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With focus on the acceptance and proliferation of new technologie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ly analyzed data about the factors influencing early acceptance user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e T-commerce service, which is highly potential to develop as a new means for electronic transactions. Especi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exhibit the applicability of the augmented TAM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e T-commerce service. Besid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provision of key clues to anticipat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market and to decid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T-commerce service prior to the supply of the service in full scale.

댓글